As of June 2023, to be updated>

 

<통상, 무역> 
무역의힘 (혹버그, 어크로스, 2020) - 원서 존재 (제목: 'Trade is not a four letter word.')
무역의 세계사 (윌리엄 번스타인/라이팅북/2019)

역사의 시작 - 미중 전쟁과 한국의 선택(경제대항해 시대, 위기에 처한 열린사회의 운명은?) (허윤, 지식과 감성, 2021) 
슬기로운 무역취업 (이기찬, 중앙경제평론사, 2022)
이기찬 무역실무 (이기찬/중앙경제평론사/2017)

세계무역기구: 법, 정치, 경제 (김치욱 번역/명인문화사/2023) 

 

<경제>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대외경제정책연구원_KIEP, 2022)
https://www.kiep.go.kr/gallery.es?mid=a10101100000&bid=0001&list_no=9883&act=view

살면서 한번은 경제학 공부 (김두얼, 21세기북스, 2021)
경제기사 궁금증 300문 300답 (2022) (곽해선, 혜다, 2021)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 : 지금 우리를 위한 새로운 경제학 교과서 (장하준/부카/2014)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Buchholz, Todd G/김영사/2009) 330.1  
그래도 경제학이다 : 우울한 과학의 성공과 실패 (데니 로드릭/생각의힘/2016)
일러스트로 바로 이해하는 가장 쉬운 행동경제학 (아키오, 더퀘스쳔, 2020)

가난한 사람이 더 합리적이다: MIT 경제학자들이 밝혀낸 빈곤의 비밀 (생각연구소, 2012)

 

<협상>

최석영의 국제협상 현장노트 (최석영/박영사/2022)

베트남, 인도와 협상하기 (안세영외/박영사/2021)

기후협상일지 (최재철/박영사/2020)

협상의 전략 : 세계를 바꾼 협상의 힘 (김연철/휴머니스트/2016)
어쩌다 한국인 : 대한민국 사춘기 심리학 (허태균/중앙북스/2015)

글로벌시대의 국제협상가 (최흥식/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2013)

국제통상 전문가 김의기 - WTO에서 답하다 (김의기/다른세상/2012)

김현종, 한미FTA를 말하다 (김현종/홍성사/2010)
서희, 협상을 말하다 : 내부협상의 거울을 통해 본 한국, 한국인 (김기홍/새로운제안/2006)

문화간 커뮤니케이션과 국제협상 (최윤희 /커뮤니케이션북스/2003)

 

<경영, 국제 기타> 

 

반도체 삼국지 (권석준, 2022) 

The Pay Off (2021)

Chip War (2022) 

이것이 실전회계다 (김수헌, 어바웃어북, 2016) <오프라인, 전자책 모두 있음> 

셰일 혁명과 미국 없는 세계 -세계질서의 붕괴와 다가올 3개의 전쟁 (피터 자이한/김앤김북스)
21세기 미국의 패권과 지정학 -다가올 무질서의 세계에서 어떤 국가가 살아남을 것인가 (상동)

 

THE CHINA 더 차이나 ( 박승찬 지음 | KMAC | 2020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Andy Kim, 김영규 지음 | 제네베라 | 2020년)
루이비통도 넷플릭스처럼 - 디지털 경제로 전환에 성공한 기업의 전략적 혁신 사례
(수닐 굽타 | 프리렉 | 2019년)
2022 콘텐츠가 전부다 (노가영외, 미래의창, 2021)
AI시대의 일자리 트렌드 (취청, 보아스, 2021)

머신, 플랫폼, 크라우드 (앤드루 맥아피 등/청림출판/2018) - 기술 낙관주의적
제2의 기계 시대 (에릭 브린욜프슨 등/청림출판/2014) - 기술 낙관주의적
미국의 성장은 끝났는가 (로버트 고든/생각의 힘/2017) - 기술 비관주의적

 

 

상식의 재구성: 한국인이라는, 이 신나고 괴로운 신분 (2021, 한빛비즈)

“가파르고 어질어질했던 이륙과정을 통과해 고공비행에 접어들었으니

이제는 조심스럽게 안전벨트를 풀고 화장실에 다녀와도 되는 시간이다.”

 

눈 떠 보니 선진국 (2021, 한빛비즈) 

- 선진국의 조건 (p13-37)

1. 정의(定議)하는사회   <백서보다 녹서> 

-  EU의 '녹서' - 정책을 결정하기에 앞서 사회 전체의 토론을 요청하는 제안이 담긴 책자  

            '백서' - 토론 후 답을 적은 책자

2. 데이터 기반의 사회   <숫자가 말을 하게 해야 한다.> 

3. 중산층이 두터운 사회 <목표를 바꿔야 한다.>  기준이 되는 지표를 바꾸기 
4. 협상하는 사회 < 딜(deal)을 가르쳐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