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ilding Trade Ties with South Korea’s Emerging Female Leaders" 

링크: https://asiasociety.org/policy-institute/building-trade-ties-south-koreas-emerging-female-leaders

As of June 2023 (to be updated)  


1. 플랫폼 레볼루션 (부키, 2017) 

2.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기술 및 인공지능(AI) 관련 산업 실태분석 (지식산업정보원, 2018)

3. 우버 혁명,책2권 (유엑스리뷰, 2019)

4. 규칙 없음: 넷플릭스, 지구에서 가장 빠르고 유연한 기업의 비밀 (알에이치코리아, 2020)(전자책자료 존재)

5.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동영상 OTT 산업 (한울엠플러스, 2020)

6. 문과생,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되다: 데이터를 비즈니스에 활용하고 싶은 이들을 위한 가장 쉬운 안내서 (길벗,2020)(전자책자료 존재)

7. 한 권으로 끝내는 디지털 경제 (와이즈앱, 2020) (전자책 자료 존재)

8. AI 시대, 문과생은 이렇게 일합니다: 통계수학은 몰라도 상관없는 미래 일자리 안내서 (시그마북스,2020)(전자책자료 존재)

9. 디지털 거버넌스: 국가· 시장· 사회의 미래 (책세상 문고· 우리시대,2021)

10.디지털 콘텐츠 산업 시장분석보고서 (비티타임즈, 2021)

11. 플랫폼 경제와 공짜 점심 (다빈치하우스, 2021)  (전자책 자료 존재)


12. 플랫폼 비즈니스의 모든 것 (부키, 2021)

13. (1일 1로그 100일 완성) IT 지식: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통신, 데이터 4가지 IT 근육으로 디지털 문해력 기르기) (인사이트,2021) 

14. 디지털 경제를 쉽게 읽는 책 (갈라북스, 2022)

15. 디지털 경제 생태계가 만들어갈 새로운 기회 NFT 미래수업 (한국경제신문 : 한경BP, 2022 )

 16. 디지털 권리장전 (어바웃어북, 2022 )

17. 디지털시대의 정책과 통상전략 (경인문화사, 2022)

18.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I 지식 (반니,2022)

19. AI는 양심이 없다: 인간의 죽음, 존재, 신뢰를 흔드는 인공지능 바로 보기 (헤이북스, 2022)

20. DQ 디지털 지능: IQ EQ를 넘어 AI시대의 지능 패러다임 (김영사, 2022)

21. IT 회사에 간 문과여자: 비전공자는 어떻게 엔지니어가 되었을까? (모로,2022)

 

22. The Age of AI and Our Human Future (2021) / 국문 번역서: AI 이후의 세계 (윌북, 2023)

 

23. 챗GPT에게 묻는 인류의 미래 (동아시아, 2023) 

 

25. AI 빅뱅 - 생성 인공지능과 인문학 르네상스 (동아시아, 2023) 

 "그렇다면 무엇이 선진국일까?

자신의 문제를 문제로 삼는 사회, 자신의 문제가 인간의 보편적 문제임을 자각하고
해결하려 애쓰는 사회, 남의 문제를 남의 문제로 객관화 해서 자기 문제로 풀기 위해
주체적으로 수용하는 사회,
남에게 문제를 문제로 포착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사회,
그런 사회가 선진국 아닐까?"
"더욱이 한국은 이미 선진국이다. 여기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이곳의 문제를 푸는 것이
인류에 기여하는 지름길이다."  - 출처: AI빅뱅 (2023) p253,254)

26. AI 이후의 세계 (윌북, 2023) - 영문서: 'The Age of AI' (John Murray Press, 2022) 

27. 결제는 어떻게 세상을 바꾸는가 - 결제 권력을 소유하는 자가 부의 흐름을 지배한다. (삼호미디어, 2023)

- 영문서: 'The Pay Off' (2021)

28. AI 2041 : 10개의 결정적 장면으로 읽는 인공지능과 인류의 미래 (리카이푸 외, 2023) 

    AI 2041: Ten Visions for Our Future (영문: 2021, Currency)

As of June 2023, to be updated>

 

<통상, 무역> 
무역의힘 (혹버그, 어크로스, 2020) - 원서 존재 (제목: 'Trade is not a four letter word.')
무역의 세계사 (윌리엄 번스타인/라이팅북/2019)

역사의 시작 - 미중 전쟁과 한국의 선택(경제대항해 시대, 위기에 처한 열린사회의 운명은?) (허윤, 지식과 감성, 2021) 
슬기로운 무역취업 (이기찬, 중앙경제평론사, 2022)
이기찬 무역실무 (이기찬/중앙경제평론사/2017)

세계무역기구: 법, 정치, 경제 (김치욱 번역/명인문화사/2023) 

 

<경제>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대외경제정책연구원_KIEP, 2022)
https://www.kiep.go.kr/gallery.es?mid=a10101100000&bid=0001&list_no=9883&act=view

살면서 한번은 경제학 공부 (김두얼, 21세기북스, 2021)
경제기사 궁금증 300문 300답 (2022) (곽해선, 혜다, 2021)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 : 지금 우리를 위한 새로운 경제학 교과서 (장하준/부카/2014)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Buchholz, Todd G/김영사/2009) 330.1  
그래도 경제학이다 : 우울한 과학의 성공과 실패 (데니 로드릭/생각의힘/2016)
일러스트로 바로 이해하는 가장 쉬운 행동경제학 (아키오, 더퀘스쳔, 2020)

가난한 사람이 더 합리적이다: MIT 경제학자들이 밝혀낸 빈곤의 비밀 (생각연구소, 2012)

 

<협상>

최석영의 국제협상 현장노트 (최석영/박영사/2022)

베트남, 인도와 협상하기 (안세영외/박영사/2021)

기후협상일지 (최재철/박영사/2020)

협상의 전략 : 세계를 바꾼 협상의 힘 (김연철/휴머니스트/2016)
어쩌다 한국인 : 대한민국 사춘기 심리학 (허태균/중앙북스/2015)

글로벌시대의 국제협상가 (최흥식/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2013)

국제통상 전문가 김의기 - WTO에서 답하다 (김의기/다른세상/2012)

김현종, 한미FTA를 말하다 (김현종/홍성사/2010)
서희, 협상을 말하다 : 내부협상의 거울을 통해 본 한국, 한국인 (김기홍/새로운제안/2006)

문화간 커뮤니케이션과 국제협상 (최윤희 /커뮤니케이션북스/2003)

 

<경영, 국제 기타> 

 

반도체 삼국지 (권석준, 2022) 

The Pay Off (2021)

Chip War (2022) 

이것이 실전회계다 (김수헌, 어바웃어북, 2016) <오프라인, 전자책 모두 있음> 

셰일 혁명과 미국 없는 세계 -세계질서의 붕괴와 다가올 3개의 전쟁 (피터 자이한/김앤김북스)
21세기 미국의 패권과 지정학 -다가올 무질서의 세계에서 어떤 국가가 살아남을 것인가 (상동)

 

THE CHINA 더 차이나 ( 박승찬 지음 | KMAC | 2020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Andy Kim, 김영규 지음 | 제네베라 | 2020년)
루이비통도 넷플릭스처럼 - 디지털 경제로 전환에 성공한 기업의 전략적 혁신 사례
(수닐 굽타 | 프리렉 | 2019년)
2022 콘텐츠가 전부다 (노가영외, 미래의창, 2021)
AI시대의 일자리 트렌드 (취청, 보아스, 2021)

머신, 플랫폼, 크라우드 (앤드루 맥아피 등/청림출판/2018) - 기술 낙관주의적
제2의 기계 시대 (에릭 브린욜프슨 등/청림출판/2014) - 기술 낙관주의적
미국의 성장은 끝났는가 (로버트 고든/생각의 힘/2017) - 기술 비관주의적

 

 

상식의 재구성: 한국인이라는, 이 신나고 괴로운 신분 (2021, 한빛비즈)

“가파르고 어질어질했던 이륙과정을 통과해 고공비행에 접어들었으니

이제는 조심스럽게 안전벨트를 풀고 화장실에 다녀와도 되는 시간이다.”

 

눈 떠 보니 선진국 (2021, 한빛비즈) 

- 선진국의 조건 (p13-37)

1. 정의(定議)하는사회   <백서보다 녹서> 

-  EU의 '녹서' - 정책을 결정하기에 앞서 사회 전체의 토론을 요청하는 제안이 담긴 책자  

            '백서' - 토론 후 답을 적은 책자

2. 데이터 기반의 사회   <숫자가 말을 하게 해야 한다.> 

3. 중산층이 두터운 사회 <목표를 바꿔야 한다.>  기준이 되는 지표를 바꾸기 
4. 협상하는 사회 < 딜(deal)을 가르쳐야 한다.> 

 

 

"한 사회에서
반가운 약속으로
해석되는 규칙이
다른 사회에서는
선택권이나
자유의 침해라고
해석될 수 있다." p139

"아무리 정부가
대대적이고 지속적으로
개입한다고 해도
기술강국을 포함해
대부분 국가에서
국제적으로 영향력있는
네트워크 플랫폼을
(예: 국제적 sns,검색 사이트)
대체할 '국내판' 플랫폼을
개발하거나 운영할 기업을
키우지는 못할 것이다." p188

"AI기반네트워크플랫폼의
올바른 사업 방식과
그에 적용되야 할 규제"
란 표현의 자기모순성ㅜ

#네트워크플랫폼
#AI기반네트워크플랫폼

#아침독서 #모닝커피
#카페인효과 #음악과책


#차이코프스키
#교향곡6번1악장아다지오

(23.05 기준, to be updated)

<논문 집필 3대 원칙>
1. 모르는 것은 쓰지 않는다. (즉, 모르는 것을 아는 척하지 않는다.)
2. 쓸 때에는 되도록 쉽게 쓴다.
3. 주장들은 최대한 의심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독서량에 기반한 ‘문제의식’이다. 자신이 관심을 가져왔던 주제를 비판적 시각으로 바라보면서 다른 연구들을 읽다 보면 자신만의 확고한 관점이 생기게 된다. 끊임없이 그 주제와 관련 글들에 대하여 약간은 삐딱한 시선을 통해 보면서 논리를 다듬다 보면 관점은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것 같다. 논문주제는 자신의 경험과 지도교수의 관심사, 미래 자신이 하고 싶은 분야에서 찾는 것이 원칙이다. 필요시 전문가의 고견을 청취하는 것도 중요하다."

 

"내가 먼저 설득돼야 남을 설득시킬 수 있다."

 

논문이 설득력이 있나 확인하는 방법

= 주요 내용이 한 문장으로 딱 떨어지는지 확인

= 타인에게 소리내서 말하면서 명쾌히 설명가능한지 확인

 

"좋은 자료는 촘촘,꼼꼼하기에 지루하고, 진실이라 그리 빛나지 않는다."

~~~~~~~~~~~~~~~~~~~~~~~~~~~~~
논문 잘 내는 10가지 방법: http://ppss.kr/archives/48522

 

논문 잘 내는 10가지 방법

※ Philip E. Bourne의 ‘Ten Simple Rules For Getting Published’을 번역한 글입니다. 1. 남의 논문을 많이 읽고 그 논문에서 많이 배워라 논문을 비판적으로 읽는 버릇은 일찍 들여라. 실험실에서 논문을 읽

ppss.kr


학술적 영문 표현 모음(academic phrasebank):www.phrasebank.manchester.ac.uk="" 
논문 맞춤법 검토 :https://speller.cs.pusan.ac.kr/

 

국문 논문 원문 검색 시:  kci.go.kr (한국학술지인증색인) kr m.or.kr(기초학문자료센터)  

                                     (회원가입 필요/키워드 검색 후 시기, 저널 등 상세 검색)
영문 논문 원문 검색 시: (접근 가능한) 대학 도서관 로긴 후(통합검색 코너에 키워드) 

                                        + 구글 & 구글 스칼라(도서관 로긴과 동시로)

 

기초학문 자료센터 (연구성과물 검색 등) https://www.krm.or.kr/

정책연구관리시스템: www,prism.go.kr (행정안전부) 
국가정책연구포털  https://www.nkis.re.kr/ (국무총리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한국 정책정보 포털: https://policy.nl.go.kr/  (국립세종도서관)
 
카인즈 SNA 분석 제공https://www.bigkinds.or.kr/
보도자료배포서비스: https://www.newswire.co.kr
 

국가기록원: www.archives.go.kr (자료 복사 신청 후 우편물로 받을 수 있음) 
국회예산정책처 분석평가보고서: http://www.nabo.go.kr 
NABOSTATS 통계시스템: http://www.nabostats.go.kr 
- 대한민국재정, 경제재정수첩, 조세수첩 통계와 국회 예결산 심사연혁(증감액내역, 부대의견 등) 등
국회 의안정보시스템: http://likms.assembly.go.kr/bill/BillSearchResult.do
국회 회의록(pdf): http://likms.assembly.go.kr/record/mhs-40-010.do

 

한국은행 해외사무소 자료(https://www.bok.or.kr/portal/singl/office/list.do?menuNo=200798)
: 뉴욕, 워싱턴, 프랑크푸르트, 도쿄, 런던, 베이징, 홍콩, 상하이 사무소 주재원들이 현지의 주요 경제 이슈와 전망을 정리해서 올림. (압축, 요약이 잘 되어 있고, 신뢰할만한 데이터를 포함하기에 활용도가 높음.) 

KDI 정책시계열 서비스: 경제정책 시계열서비스 | 정책시계열서비스 | 주제별보기 (kdi.re.kr)

통계청 웹사이트: www.kosis.kr
유용한 통계지표 사이트 모음: https://kwarehouse.blogspot.com/2018/09/blog-post_7.html?spref=fb&m=1

 

기억해두면 유용한 통계지표 사이트 목록

업무를 하거나 글을 쓸 때에는 다양한 통계지표를 사용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가급적 신뢰도가 높은 자료를 사용해야 하며, 때로 나의 논리와 통계지표가 상이하다면 그 논리를 수정해야 하는

kwarehouse.blogspot.com

- 한국연구자정보: www.kri.go.kr  
- 범부처통합 연구지원시스템 :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표준분류체계 정의: 국가정책연구포털(NKIS) - 표준분류체계
경제·인문사회연구회와 26개 소관 연구기관의 연구성과물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주제별 검색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통합적인 분류체계입니다.

- 무협 무역계약사례: https://www.kita.net/cmmrcInfo/cmmrcCntrctCase/engBsnsLetter/engBsnsLetterList.do?n_dirid=1&nTheme1=11&sTheme2=SSA

 

영문 비즈니스 레터-Biz proposal

산업군별, 비즈니스 상황별, 무역계약 과정별 필요 영문 비즈니스레터 형식 제공.

www.kita.net


- 코트라(통상 빅데이터 플랫폼; 트라이빅); 품목별 유망시장 : KOTRA 무역투자빅데이터

- 한국은행 발간 단행본 모음 사이트: https://www.bok.or.kr/portal/bbs/P0000604/view.do?nttId=10048969&menuNo=200461

 

한국의 금융제도(2018) | 한국의 금융제도(상세) | 단행본 | 간행물 | 조사 · 연구 |  한국은행 홈페

2018년 개정판, 목차 제1장 개관: 한국의 금융제도, 제2장 금융하부구조, 제3장 금융기관, 제4장 금융시장 등

www.bok.or.kr

 
WTO 분쟁사례 주요 DB)
https://www.wto.org/english/tratop_e/dispu_e/find_dispu_cases_e.htm
https://datacatalog.worldbank.org/dataset/wto-dispute-settlement-database

World Trade Law (통상법 연구정보 DB) https://disputecase.kr/
한국이 당사자인 WTO 분쟁 현황: https://www.index.go.kr/potal/stts/idxMain/selectPoSttsIdxMainPrint.do?idx_cd=1680&board_cd=INDX_001

 

국제법 판례 · 통상법 해설 포털

 

disputecase.kr

FTA/ 등 국제통상규범 국가 간 비교 분석 연구 시 기본자료 3개(예시) 

1. FTA 협정문 원문(한/영) - 중 해당 주제 부분(보통 독립된 장(chp)으로 구성)
   : 협정문 세부 절(Article) & 항 / 일반조항, 의무규정, 협력규정 
2. 한국 FTA의 경우 상세설명자료 (한) - 중 해당 주제 부분(보통 독립된 장(chp)으로 구성) <www.fta.go.kr>
   : 협상경과, 한국 정부의 협상 전략, 입장 
3. 각 국 국회나 의회의 FTA 비준보고서 (한/영) - 중 해당 주제 부분(보통 독립된 장(chp)으로 구성) 
   : 해당 FTA를 위해 국내법, 제도가 바뀐 부분들 & FTA 비준과 국내 제도 변화 등에 대한 주요 이해관계자들의 반응 
<예시> 한국링크 -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Y1U8K1R0Y1L2W1Z6Y5I0O0U4T1L9W8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