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3 현재, 계속 update 예정)

Q> 통상과 무역은 어떻게 다른가요? 같은 것 아닌가요?


A. 우선 '무역'과 '국제통상' 용어, 개념의 차이에 관한 여러 차원의 논의가 존재합니다. 

1. 거래대상의 범위
   - 무역: 국가간 상품, 서비스, 지식재산권 등의 거래
   - 국제통상:  상품, 서비스, 지식재산권을 포함한 자본, 노동 등을 포함한 거래

2. 경제활동의 범위
   - 무역: 국가간 상품, 서비스, 지식재산권 등의 거래
   - 국제통상:  상품, 서비스, 지식재산권을 포함한 자본, 노동 등을 포함한 거래

3. 거래 기간 
- 무역: 전통적이고 일상적인 표현- 거래기간이 단기
- 국제통상: 거래기간이 중장기, 법, 제도적 측면을 강조한 전문적 표현 → 통상조약

4. 공사 차원 
- 무역: 사적영역(private sector) - 무역은 개인 혹은 기업과 같은 개별 경제주체가 국경을 넘어 다른 국가의 
      경제주체들과 상품, 용역(서비스) 그리고 생산요소를 교환하는 사적 경제활동
- 국제통상: 공적영역(public sector) - 국가란 주권단위가 국가들 사이의 경제교류에 작용하는 제약요인을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한 국가 또는 국제기구 차원의 다양한 활동

따라서 국제통상(International Commerce)이란 무역거래 활동 자체를  포함하여 무역을 가능하게 하는 모든 시스템 총칭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상품, 서비스,지식재산권의 국제 교역 및 국제투자, 노동 및 자본이동 등의 교환이 기본이고, 이러한 거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국제규범 및 제도 마련을 위한 국제협상도 
포함됩니다. 이에는 무역거래에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상품, 수출입행위, 정책,  외교, 제도, 협상, 환경, 지정학적 배경, 언어, 기호, 소비습관, 사회간접자본,  물류(logistics) 등의 활동까지도 
포함됩니다. 

<개념, 그림 출처: 국제통상학의 이해, 이정세 외, 2021> 


Q> 저는 통상 초보인데 통상을 좀 더 배우고 싶어요. 어떤 방법이 좋을까요?


A>
1. 우선 한국정부(산업부) 발간 월간 잡지인 "월간통상( www.tongsangnews)"을 구독하세요.
- 오프라인 잡지는 집으로 구독 & 온라인 잡지는 사이트 방문
및 "카톡친구 맺기"로 뉴스레터를 꼭 받아보세요.
2. 조금 더 통상 분야 양질의 정보, 뉴스에 노출되고 싶으시면
8대 통상 관련 주요 기관 사이트
(KOTRA, KIEP, KIET, KDI, IFANS + KITA, KOCHARM, FKI) 를 방문하시어
회원가입 후 "이메일 뉴스레터" 신청을 해보세요.
- 이 때 이 온라인 뉴스레터 받을 메일함은 본인 소유 이메일 계정 중
용량 큰 곳으로 1군데로 하심 좋아요. (팁! 팁!)
- 이어서 위 8대 기관 유튜브 영상 "구독" 신청 꼭 하시고 주기적으로 챙겨 보세요!
<통상 관련 주요 기관 코너 참조>


Q> 저는 경제학 초보인데 더 배우고 싶어요. 어떤 방법이 좋을까요?
A> 경제초보시면 저는 개인적으로 처음부터 유튭 동영상 시청은 추천 드리지는 않고,
경제 기초내용을 다루는 단행본과
경제신문기사(보수지:조선경제/진보지:경향,경제섹션) 병행이 좋아 보여요.
"살면서 한번은 경제학 공부","장하준의 경제학 강의" 등등 도서 추천 드려요.
<통상 관련 도서 추천 코너 참조>



Q> 통상의 기초를 빠른 시간 내에 다지기 위한 좋은 자료가 있나요? 

 

최근 자료 중 가장 기초적이고 자세한 자료 2가지를 우선 소개합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이 홈피의 "가톨릭대 국제학부" 코너에 가시면 세부 주제 별로 좋은 자료를 소개합니다. 꼭 한번 클릭해 보세요! 

KITA_무역아카데미 2021 어서와 통상은 처음이지_교재.pdf
5.28MB

기업의 통상전략 수립을 위한 가이드라인 통상전략 2020-KITA 통상 리포트

 

또한 아래와 같이 통상 유관기관들의 유튜브 링크 구독을 추천드립니다. (22.10월 기준 링크)

통상을 공부하시다가 매너리즘이나 지겨움에 사로잡혔을 때 우리를 'refresh!' 시켜줄 고맙고 품질 좋은 동영상들이 가득!

예시 소개 링크) https://tradeko.tistory.com/m/2

 

통상 관련 주요 기관 (1) 정부 부처 및 산하기관 (Youtube 링크 포함)

22.02 현재, 계속 update 예정/ 각 세부 링크 추후 첨부 예정 통상유관 정부 부처>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 - YouTube (산소통) 산업부 통상교섭본부: 통상TV - YouTube 기획재정

tradeko.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