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연구 202012 고보민 한싱DPA-1-1.pdf
0.80MB

 

고보민_무역연구 202106 디통_소비자신뢰-1-1.pdf
0.73MB

 

무역학회지 202112 개인정보 국외이전 관련 규범 국제 동향 분석-1-1.pdf
0.86MB

 

무역경영연구 202201 개인정보 국외이전 관련 EU GDPR 위반 사례 분석 및 기업에의 시사점-1.pdf
13.73MB

 

JGBT 202202 고보민 Digital Trade Negotiation in Korea-China-Japan FTA.pdf
0.88MB


(22.05 기준)

 

국제원산지연구원 기고) 'FTA와 디지털 통상' 

고보민 기고 202205 국제원산지연구원 무역리포트 FTA와디지텉통상.pdf
3.54MB

 

(22.05 기준) 

 

산업부 2021 사례로 손쉽게 이해하는 디지털 통상의 기초.pdf
8.90MB

 

TAPED - University of Lucerne (unilu.ch)

TAPED - A New Dataset on Data-related Trade Provisions

The TAPED (Trade Agreements Provisions on Electronic-commerce and Data) dataset seeks to comprehensively trace developments in the area of digital trade governance. The dataset includes a detailed mapping and coding of all preferential trade agreements (PTAs) that cover chapters, provisions, annexes and side documents that directly or indirectly regulate digital trade.

TAPED covers more than 340 PTAs agreed upon since 2000. A total of 84 different items were coded, including provisions on digital trade, intellectual property, key services sectors, government procurement, trade in goods, as well as general and specific exceptions. The codebook made available below explains in detail the questions behind the coding points.

 

PUBLICATIONS:

 

KIEP 영상보고서] 디지털 시대를 올바로 이해하는 법

https://www.youtube.com/watch?v=CtWt4iQ6wKM&feature=youtu.be 

 

국제원산지정보원 FTA 무역리포트 2022-05월호 기고

- 제목: FTA와 디지털 통상규범 (by 가톨릭대 국제학부 고보민 교수) 

국제원산지정보원 FTA 무역리포트 기고 202205 FTA와 디지털 통상규범.pdf
0.47MB

 

우리가 몰랐던 ‘디지털 돈’이 온다, CBDC 공부합시다 - 조선일보 (chosun.com)

사망선고 445번 받은 비트코인…‘新 통화질서’ 핵심될까 [고란 코인도란] - 이코노미스트 (economist.co.kr)

 

사망선고 445번 받은 비트코인…‘新 통화질서’ 핵심될까 [고란 코인도란]

크로네 은퇴 소식에 팬텀(FTM) 생태계 ‘휘청’<br/>새 통화질서 핵심 여겨진 비트코인, 여전히 단기 상승 점치긴 어려워<br/>윤석열 당선, ‘가상자산 소득 비과세 한도액 5000만원 상향’ 지킬 수

economist.co.kr

2022.03.30) https://m.news.nate.com/view/20220330n03001

 

"메타버스 NFT, 조만간 '생활의 일부' 된다" | IT : 네이트 뉴스

IT 뉴스: [머니투데이 조철희 기자, 김상희 기자, 최성근 전문위원] [[2022 키플랫폼 키맨 인터뷰] 랜 해머 오브스 부사장] 최근 IT(정보기술) 분야는 물론 사회적으로도 화제가 되고 있는 메타버스(M

m.news.nate.com

"이스라엘의 블록체인 인프라 서비스 제공 업체 오브스(Orbs)의 랜 해머(Ran Hammer) 부사장(사진)은 머니투데이 글로벌 콘퍼런스 키플랫폼(K.E.Y. PLATFORM)과의 인터뷰에서 "메타버스와 NFT 같은 디지털 기술이 미래 사회와 경제 질서를 바꾸어 놓을 것"이라며 "앞으로 2~3년간 세계를 변화시킬 트렌드는 메타버스와 웹 3.0, 그리고 인터넷 민주화"라고 말했다. "

 

*고선생 주석: 대체 불가능한 토큰(代替不可能토큰, Non-Fungible Token, NFT)은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 단위로, 고유하면서 상호 교환할 수 없는 토큰을 뜻한다. NFT는 사진, 비디오, 오디오 및 기타 유형의 디지털 파일을 나타내는데 사용할 수 있다.

 

-메타버스와 NFT의 유행을 어떻게 평가하는가.
▶개인적으로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업계 전반의 미래에 대해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 특히 이더리움 (ETH), 디파이(DeFi), 메타버스, NFT가 미래 인터넷에서 엄청난 역할을 담당하고 결국 기존의 사회·경제 질서를 바꾸어 놓을 것이라고 믿는다. 언제든 새로운 기술이 부상하면 어느 순간 그것이 관념적이고 부차적인 흥밋거리에서 갑자기 생활의 일부가 되는 분기점이 찾아온다. NFT의 대대적인 부상과 함께 이러한 순간이 조만간 도래할 것이다.

첨단기술 기업들은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세계에서 상당한 부동산을 소유하기를 원하는 반면 다른 기업들은 메타버스를 열린 공간으로 유지하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다. 메타버스의 미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애드 테크(ad-tech), 전자상거래, 소셜 플랫폼을 통한 VR(가상현실)·AR(증강현실)에서부터 검열불가능한(censor-resistant) 디지털 소유권, 신용이 필요 없는 무신뢰성(trustless) 거래 및 디지털 가치 전환, 블록체인 기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술과 기업들의 조합이 필요할 것이다.

-메타버스와 NFT가 어떤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는가.
메타버스와 그것이 사회의 모든 측면에 미치는 영향, 웹 3.0, 그리고 인터넷 민주화 등의 트렌드가 앞으로 2~3년간 분명히 세계를 변화시킬 것이다. 웹 3.0의 VR과 AR은 아주 흔한 것이 되고, 애플리케이션과 게임의 그래픽은 더욱 실제에 가까워질 것이다. 우리를 둘러싼 물리적 세계가 디지털화 되고, 사람들이 가상 아바타를 이용해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가상공간인 메타버스로 세상이 완전히 바뀐다고 상상해 보라.

NFT는 메타버스의 문을 열 수 있는 특별한 가상의 열쇠다. 실제로 NFT의 메타버스로의 통합은 가상세계에서 근본적인 변화를 촉발시켰으며 실제 세계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이것이 구찌(GUCCI)가 로블록스 게임을 통해 메타버스에서 새로운 소비자들을 모으기로 결심한 이유다. 구찌의 전략은 로블록스 게임에서 아바타들을 위해 한정판 '구찌 컬렉션' 가방, 안경, 모자들을 NFT로 제작해 판매하는 것이다.

-관련 기업들의 비즈니스 트렌드는 어떠한가.
자체적인 VR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기술 대기업들(페이스북, 애플, 마이크로소프트)과 소셜 미디어와 게임 산업이 메타버스 기술을 도입하는 선도적 분야가 될 것이다. 메타(META), 스냅(SNAP)으로 리브랜딩 중인 페이스북은 큰 영향력을 가진 소셜 플랫폼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메타버스 접속을 위한 하드웨어 개발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로블록스는 초기 단계 메타버스 도입에 아주 근접한 상태다. 일렉트로닉아츠(EA)는 스케이트, 심즈, 심시티, 스포츠 프랜차이즈 등 폐쇄형 메타버스로의 전환 준비가 갖춰진 다수의 IP(지식재산권)를 보유하고 있다. 액티비전 블리자드(Activision Blizzard)는 자사 게임인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World of Warcraft)로 인해 초기 메타버스의 혁신기업 중 하나로 인정 받고 있다. 콜 오브 듀티(Call of Duty)는 많은 툴을 이용해 메타버스를 구축해 더 많은 수익과 사용자 참여(크로스 플랫폼, 크로스 유니버스, 단일화폐 경제)를 이끌고 있다.

-메타버스와 NFT의 보안 문제를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일부에서 메타버스의 도입이 판도라의 상자를 열어 다양한 사기, 돈세탁, 허위정보, 사이버 공격 등 수많은 문제를 일으킬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베스트셀러 소설 '스노우 크래시'(Snow Crash)에서 주인공은 범죄조직과 관련된, 피자 배달을 하는 해커로 디스토피아적인 가상세계를 돌아다니며 스노우 크래시라는 합성 마약에 얽힌 미스터리를 파헤치는 인물로 그려진다. 그러나 실제로 메타버스와 NFT는 엄격한 규제 속에서 감독을 받고 있으며 인터넷의 탄생에 도움이 된 미국 연방 통신품위법 230조(Section 230)를 비롯한 법률에 의해 제한을 받게 될 것이다.

 

EU 의회 및 회원국, 디지털서비스법 합의… 빅테크 책임 강화-통상뉴스 (kita.net)

 

O 유럽연합(EU)의회가 지난 23일 EU이사회 순회 의장국인 프랑스 및 집행위원회 관계자들과 16시간에 걸친 마라톤 협상 끝에, 초대형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들에게 불법 및 유해 콘텐츠 단속에 대한 강력한 책임을 부여하는 내용의 ‘디지털서비스법(DSA)’제정에 합의했음. 
- DSA는 지난해 EU의회 본회의에서 채택된 디지털시장법(DMA)과 함께 EU내 빅테크 규제의 양대 산맥을 이루는 법안으로서, DSA가 시행되면 온라인 플랫폼 기업들은 아동 성 학대, 테러 선동, 위험 제품에 대한 정보 등 불법 콘텐츠에 대한 처리 절차를 신속하게 마련하고, 관련 알고리즘도 공개해야 하는 등 새로운 투명성 의무 조항을 준수해야 함
- DSA는 또한, 이용자의 성, 종교, 인종 등의 정보를 활용한 알고리즘 기반 타깃 광고와 미성년자 대상 광고 등 온라인 타깃 광고도 규제하고 있으며, 이용자의 특정행동을 유도하는 조작기술인 ‘다크패턴’의 사용도 금지하고 있음. 
- DSA 위반시에는 글로벌 연간 매출의 최대 6%에 달하는 과징금이 부과되고 지속적 위반 시에는 EU내 사업 금지조치를 당할 수 있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대형 소셜미디어 업체들을 비롯해, 구글 등 검색 엔진, 스포티파이 등 팟캐스트 스트리밍 플랫폼, 아마존 등 온라인 쇼핑몰 등 초대형 온라인 플랫폼이 동 법률의 적용 대상임
- DSA는 이르면 올해 안에 발효될 예정으로, 유럽 역외에도 상당한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특히 DSA제정 합의 소식에 버락 오바마 전 미 대통령 및 힐러리 클린턴 전 미 국무장관 등 과거 온라인 가짜 뉴스로 피해를 입은 인사들은 DSA 제정을 지지하고 있음. 오바마 전 대통령은 소셜 미디어상 정치 양극화 조장 중단을 위한 법률 제정을 촉구했으며, 클린턴 전 국무장관은 DSA에 관한 EU 3자협의를 앞두고 “너무 늦기 전에 글로벌 민주주의를 수호해야 한다”며 합의안 타결을 촉구했음. 
- 한편, DSA 제정 합의에 대해 EU집행위와 의회 관계자들도 크게 반색했음. 티에리 브레통 EU단일시장 집행위원은 이번 DSA 합의에 대해 “20년만에 처음 있는 유럽내 디지털 및 정보 영역 규제”라고 밝혔고, 크리스텔 샬데보세 덴마크 EU의원은 “온라인 내 시민권리 옹호 및 민주주의적 알고리즘 통제에 관한 금과옥조가 될 것”이라고 칭송했음. 
- DSA는 앞으로 EU 회원국과 유럽의회의 승인 절차를 거쳐야 하며, 이용자 4500만명 이상의 빅테크 기업들은 이후 4개월간, 그 외 중소형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들은 15개월간의 준비 기간을 가진 뒤 법률 시행에 들어감.
 

 

경제단체 "윤석열 당선인,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해 달라"-무역뉴스 (kita.net)

 

경제단체

무역 관련 주요 국내 및 해외 뉴스, 최신 환율 전망 업데이트.

www.kita.net

 

세종 2020 제20대 대통령선거_그 결과와 영향.pdf
0.44MB

3/22화> 

[단독]인수위, '산업부의 통상' 점검…외교통상부 부활설 무게 - 머니투데이 (mt.co.kr)

[다산 칼럼] 통상조직 개편 논의, 제대로 하기 (naver.com)

 

 

3/22화> 신정부 통상정책 심포지엄(am)> 발제 2개 핵심 내용 요약 (전체 자료는 '통상 흥미로운 세미나' 링크 참조)

<서정민 교수님 발제 내 결론 중> 

가치기반 통상전략 - (방향) 선진통상국가 실현 → 궁극적, 대한민국다운 통상국가 실현/ "한국적인 통상 가치" 수립
- 선진국(글로벌스탠다드)을 따라하는 국가가 아닌,‘이미 선진국’ 대한민국
- 단기적 이해에 따른 기회주의적 전략이나 맹목적 추종 전략의 한계 시대
- 가치와 원칙에 입각한 일관성 있는 전략 요구
- 세계가 공감하고 존중하는 ‘한국적 통상가치’ 확립, 국제적 확산을 위한 ‘한국형 세계전략’계획 수립

<허윤 교수님 발제 요약> 

통상조직의 특성과 장단점>>
-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면 우선 제조업 강국들은 주로 산업통상형을, 자원·농업 부국은 외교통상형을 선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중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등 제조업 강국 대부분은 산업통상형 조직을 구현하고 있으며 특히 수출주도 경제의 경우 산업통상형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함
-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출 주도형 국가들이 통상 압력 완충을 위하여 통상 기능을 다수 산업 담당 부처로 분산하고 있는 반면 내수 위주의 경제나 공산품 수입경제는 통상정책을 외교부로 일원화하는 외교통상형을 선호하고 있음 
- 통상조직 유형은 무역규모나 산업구조와 강력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일정수준(1조 달러) 이상의 무역규모와 제조업이 강한 산업구조를 가진 대부분의 국가가 산업통상형을 채택하고 있음 

복합통상체계 (통상 + 산업, 안보, 기술, 에너지) vs. 경제안보>>
- 통상정책이 최근 들어 공급망 안정성 확보, 기술 동맹, 디지털 대전환, 탄소 중립, 보건 협력 등 
비전통 통상이슈들과 긴밀히 연계되면서 조직 측면에서 산업통상형의 장점이 부각되고 있음 
- 통상정책이 산업과 기술 및 에너지 영역과 가지는 교집합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
- 현 글로벌 통상 핵심 이슈/어젠다 예시)> 
* 공급망 핵심산업 육성 (미국의 공급망 검토 행정명령과 경쟁법, EU의 신산업전략과 반도체법, 
한국 국가첨단전략산업 특별법, 자원안보기본법 제정 등)
* 기술 규제 강화 (미국, EU의 수출 통제 기업 리스트, 한국의 산업기술보호법 연계 전략기술 수출심사 강화, M&A 승인 및 인력관리 등 기술 보호와 외투심사 강화 추이)
* 디지털 통상규범 논의 활성화 (디지털 대전환, 디지털 제품거래 및 데이터 이동 급증), 
* 탄소 중립 (EU 탄소국경조정제도 CBAM, 미국 공정전환경쟁법 발의 등 그린 경제 전환을 위한 환경규제의 신무역장벽화 추이)
* 백신 민족주의 (보건위기 심화에 따른 지재권 유예나 필수의료물품 이동 논의 및 국산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등

- 통상 거버넌스의 문제는 결국 이같은 핵심 아젠다를 어디에서 어떤 형태로 다루는 것이 국가 차원에서 조직상의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을 까의 논의로 귀결되며, 이와 함께 글로벌 전략 차원의 안보나 외교 정책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통상정책의 중요성이 부각
- 미국의 대중 혹은 대러시아 제재에서 보듯이 특정국의 외교·안보적 도발 혹은 
자국과의 정치적 마찰 혹은 인권탄압에 대한 응징 수단으로서의 통상정책이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있음 
- 공급망의 안정적 확보 자체가 중요한 안보 요인으로 등장하면서 경제안보의 중요성 또한 커지고 있으나, 
문제는 통상의 핵심 아젠다들이 경제안보가 커버할 수 있는 영역을 벗어나 다양한 하이브리드형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데 있음 


*통상정책을 두고 외교와 안보의 수단적 측면만 강조하면 ‘국부창출의 기반’이라는 통상정책의 또 다른 산업적 측면을 놓치기 쉬움 - 한국의 주요 경쟁국들이 최근 들어 통상정책을 ‘글로벌 산업정책’의 중요한 한 축으로 인식하면서 
이를 기술과 자원 및 환경과 연계하여 국내 자원 배분을 꾀하는 등 국익을 극대화하려는 경향이 강해졌기 때문
: 이 같은 추이는 글로벌 영향력이 큰 국가들이 꾀하고 있는 <산업정책 2.0>의 화려한 부활에서도 잘 드러남 
- 자국 내 핵심산업을 육성하고 핵심 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동시에 새로운 정책 조정 거버넌스를 통해 
통상 전략과 교섭 기능의 산업정책 수단으로서의 유효성을 확보하는 데 각국은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 
한국 산업부의 경우 제조업 뿐만 아니라 농업과 서비스를 포함한 제반 산업에서의 기업 혁신을 촉진하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애로를 해소하는 통상정책을 펼치기 위해서는 관련 산업의 투자와 규제, 우리 기업의 
경쟁력 등 타 정책영역과의 조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대외 통상에 관한 실질적 정책조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보강할 필요가 있으며, 그 기반의 핵심은 전문성과 조정능력 확보에 있음 
독립형 통상교섭 부서를 가지고 있는 미국 사례>각 부처의 역할을 인정하면서도 부처의 협업과 조정을 통해 민첩하고도 유연한 통상정책을 구사하고 있음
- 오히려 무역대표부(USTR)의 경우 주어진 정책 목표의 교섭에만 그 역할을 제한시키면서 상무부의 기능을 확대시키는 추세
- ex)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 산업과 기업와 관련된 전략이 많음 

새로운 국제환경 속에서 한국의 산업부가 타 부처와의 수평적 협력에 의한 통상정책의 조정자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산업별 후속 조치를 고려한 실질적이고도 성공적인 협상을 이뤄내기 위해서는 보다 전문적이고도 유연한 조직으로 거듭나야 함 

 

통상 인력의 전문성 강화와 사안별 부처간 조정 능력 제고가 통상 주무부처의 시급한 과제>>  

1> 인력의 전문성 강화 방안
산업-통상-자원 순환 보직과는 별도의 "반관반민 통상 분야 전문트랙"을 마련하여 전문 영역별로 지식과 협상력을 계속 높여가는 방안이나 인력의 절반 (현재 약 320명 규모의 통상 인력 중 160명)을 민간 개방직으로 전환하여 국회나 법무법인 혹은 재외공관이나 대기업 통상부서와 일정기간 계약제로 순환시키는 방식도 고려 필요 

2. 통상 관련 조정 능력 제고를 위해
- 대외경제장관회의(대경장)와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기재부)를 산업부에서 적극 활용하는 동시에 
대통령 직속의 가칭 <통상위원회>를 신설하여 핵심 공급망 문제 뿐 만 아니라 통상-산업-기술-환경-자원 연계 전략과 정책의 수립 및 교섭을 담당 하게 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음 
- 이는 많은 경우 통상 아젠다가 국가 최고 리더쉽의 직접적인 개입을 요구하기 때문
- 따라서 국무총리실 산하에 통상정책 조정기구를 두는 경우 최종 의사결정에 있어서 조정력과 신속성에 구조적인 한계를 보일 수 밖에 없음  

신정부 통상정책 방향 제안>> 

1) 가치지향적 통상정책  2) 태평양 중시 정책   3) 글로벌 핵심 중견국가(G10)로서의 비전 제시

1) 가치지향적 통상정책
- 한국의 차기 정부는 사회적 가치를 주요 통상정책 항목으로 포함하는 가치 지향적 통상정책의 확산에 대해 진보나 보수 등 이데올로기적 진영논리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뚜렷한 국제환경의 변화로 인식할 필요가 있음 
- 즉 ‘선택의 문제’가 아닌 새로운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의 문제’로 받아들이고 그 변화에 한국이 오히려 주도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중·장기적으로는 미국과 EU의 통상 압력에도 효과적인 대응기반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인권과 민주주의의 통상정책 연계 혹은 환경 정책의 강화 추이는 서방 주요 경제권들을 중심으로 앞으로 상당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큼. 
- ‘정치와 경제의 분리’ 혹은 ‘안보와 통상의 분리’ 주장은 국제사회에서 상당기간 실현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임 

2) 태평양 중시 정책
- 한국의 차기 정부는 그동안 중국에 경사되어 온 우리의 입장과 시각에 균형을 잡아줄 수 있는 태평양 중시 정책을 적극 고려했으면 힘 
- 구체적인 방안) 
1. 한국이 주도적으로 나서 한·미·일 FTA 이니셔티브를 주창하면서 미국과 일본에 3국 FTA를 제안하는 것을 고려 가능
- 한국의 입장에서 한·미·일 FTA는 2012년 이후 진행 중인 한·중·일 3국 FTA 협상에 대해 대륙과 과 해양 세력 간의 균형을 잡아주는 정책이 될 것
- 한·중·일 FTA와 한·미· 일 FTA 동시 추진은 명분도 있을뿐더러 한국의 중국 경사에 대한 동맹국들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으로 보임 
-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한·미·일 디지털 무역협정을 제안해 변화하는 디지털 국제환경에 주도적으로 참여했으면 함 
- 일본과의 관계 개선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2. CPTPP 조기 참여 또한 아시아 중심의 RCEP을 태평양 연안국(캐나다, 멕시코, 칠레, 페루)들의 네트워크로 보완 가능
3. 아직 구체적인 내용과 형태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미 상무부 주도의 인도·퍼시픽 경제프레임워크(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 IPEF)나 국무부 주도의 쿼드 플러스에도 적극 참여하여 우리의 입장을 개진할 필요가 있음 
- 태평양 중시 정책과 이에 따른 한반도 재균형전략을 통해 한국은 그 지정학적 리스크를 줄이는 동시에 지경학적 안정을 꾀할 수 있을 것임 / (친미라기 보다는) 한반도 재균형 전략 필요 

3) 글로벌 핵심 중견국가(G10)로서의 비전 제시
- 한국의 차기 정부는 글로벌 핵심 중견국가(G10)로서 달성하고자 하는 포괄적인 대외경제 비전을 세계에 제시함과 동시에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마련해야 함 
- 지금까지 한국은 생존에만 급급해 포괄적인 대외경제비전도 없이 선진국을 따라가기 위한 수동적인 정책과 입장을 답습하고 사안별로는 일관성 없이 임기응변식 방식으로 대처해 왔다고 할 수 있음 
수동적으로 끌려다니는 방식이 아닌, 디지털 무역, 기후변화 협약이행, 환경 및 노동 관련 새로운 통상 이슈들에 대해 
핵심 중견국 한국이 선도적 입장을 제시하는 것은 많은 중견국과 개도국들의 호응까지도 이끌어 낼 수도 있는 참신한 시도가 될 것임  
- 한국이 과거 경제개발경험을 바탕으로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개도국 지원방식을 제안하고 경제 및 개발 관련 국제기구에의 참여를 더욱 활성화하고 확대하는 것 또한 우리 미래 비전의 중요한 일부가 되어야 할 것임
- 한국 대외 통상정책의 방향은 자유무역과 그 제도적 인프라인 다자무역체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WTO(세계무역기구)의 성공적 개혁을 지지하는 것을 기본으로 함이 마땅하나 다자주의 체제의 완전한 회복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목표가 되었으므로 다자체제를 보완할 지역무역협정과 아젠다별 복수국 협정에 우리의 자원과 역량을 집중해야 할 때임 

 

 

 


"South Korea’s potential as an arms exporter results from its enduring confrontation with its northern neighbour. The need to keep up its guard against North Korea has meant that, despite its middling size, South Korea has long been one of the world’s biggest spenders on troops and armaments.

South Korea’s arms exports have increased more than sixfold since 2005; in 2021 they exceeded imports for the first time. The government sees the defence industry as a big source of future growth."

출처: https://www.economist.com/asia/2022/02/12/south-korea-wants-to-become-one-of-the-worlds-biggest-arms-exporters?frsc=dg%7Ce
~~~~
방산수출,새롭고 흥미로운 통상 주제!

방산업무 유관기관 (dssc.mil.kr)   

전략물자관리원: Kosti 전략물자품목전시관 (yestrade.go.kr)

"우리 기업이 수출하는 물품과 기술이

국제 수출 통제체제에서 정한 통제품목인지를 판정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선진화된 온라인 시스템을 구축하여

각종 민원 서비스를 신속·정확하게 제공하는 한편,
홍보·교육, 국제동향 제공 등 수출기업에게 전략물자관리의 필요성을 적극 알리고 있습니다.

또한 국제수출통제체제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우리 산업계의 이해를 대변하는 등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 Recent posts